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운영/재해복구7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5) 개선 방안 검토 (1) 가용성 요구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1) 요구 분석 (2) 가용성 계획 수립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2) 계획 수립 (3) IT 서비스 현황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3) 현황 분석 (4) 연속성 구현 전략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4) 연속성 구현 (5) 개선 방안 검토 1) 연속성 관리 활동의 주기적인 평가 가용성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나 다른 방법론을 이용하여 실제 가동 중인 시스템의 가용성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한다. 측정된 결과는 서비스 수준 보고 시에 포함되어 고객 및 사용자에게 공유해야 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가용성 향상을 위한 input 데이터로 활용한다. I.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서버 .. 2023. 4. 6.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4) 연속성 구현 (1) 가용성 요구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1) 요구 분석 (2) 가용성 계획 수립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2) 계획 수립 (3) IT 서비스 현황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3) 현황 분석 (4) 연속성 구현 전략 1) IT 서비스 연속성 전략 수립 IT 서비스는 위기 관리를 위한 BCP 체계 구조 하에서 대상을 정의하고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한다. IT 서비스와 비즈니스 간 연관 관계, 서비스 중단에 따른 Risk 등 업무 연속성 계획(GCP)을 반영한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에 따른 연간 연속성 관리 계획을 작성한다. 이 계획에는 대상 범위와 관련 담당 조직 정의, 그리고 관련 담당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영향 및 위험 분석,.. 2023. 4. 6.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3) 현황 분석 (1) 가용성 요구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1) 요구 분석 (2) 가용성 계획 수립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2) 계획 수립 (3) IT 서비스 현황 분석 1) IT 서비스 자원 식별 IT 서비스 자원이란 서버 등의 물리적 자원과 애플리케이션 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말한다. I. 자산 관리 대상 파악 - 하드웨어 : 서버, 스토리지, 백업 장비 - 네트워크 : L4 스위치, 라우터, VPN, 방화벽 - 소프트웨어 : OS, DBMS, 개발 툴, 미들웨어 - 시스템 : ERP, BPM, WMS, MES, Sales Portal, 메일서버 IT 자산은 고가용성, DR 및 DB 백업에 대해서 계속 고려하며 비즈니스 연속성을 우선시해야 한다. II. .. 2023. 4. 5.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2) 계획 수립 (1) 가용성 요구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1) 요구 분석 (2) 가용성 계획 수립 1) 연간 가용성 목표 설정 시스템별, 서비스별로 연간 가용성 목표를 정의한다. 이때 가용성의 수치에 영향이 갈 수 있는 시스템 유지보수나 보안 패치 등의 작업을 고려해야 한다. 2) 가용성 관리 평가 항목 정의 매월, 매 분기별로 각 시스템의 미리 계획했던 서비스 시간 대비 실제 서비스 시간을 계산하여 가용성을 산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가용성을 단순 퍼센트(%)로 계산하는 것 외에도 여러가지 평가 항목을 정의하고 관리해야 한다. 가용성 평가 항목에는 시스템 또는 서버의 가동률, 장애 건수, 장애 발생 후 시스템 복구 시간, 장애로 인한 서비스 영향도 등이 있다. 가용성 계산 결과 및 각 항목에 .. 2023.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