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운영/재해복구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IT 시스템의 용량 관리

by Torobeen 2023. 4. 2.
반응형

타이틀

1. 용량 관리

가용성 관리는 용량 관리가 기반이 된다. 용량이란 서비스의 품질과 수준을 충족시키면서 비즈니스 전체적인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자원을 말한다.


용량 관리는 워크로드 관리, 용량 모델링, 수요 관리, 사이징, 자원 관리, 성능 관리를 모두 포함하는 관리체계이다.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 최적의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난 자원의 성능 정보에 대해 파악하면서 차기 용량 요구량을 확보, 유지, 관리한다.

 

1) 워크로드 관리

워크로드 관리는 서비스별, 업무별, 작업 패턴, 부하 추이, 자원 활용률 등을 파악해서 서비스를 분류하고 구성하도록 관리한다. 이처럼 관리해두면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의 자원 활용률이 적절하게 분산되어 부하 관리에도 용이하고, 수집된 정보는 나중에 용량 추이 분석이나 비즈니스 자원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다.

 

2) 용량 모델링

기존 서비스의 용량 정보를 일정 기간동안 수집한 내용을 근거로, IT 자원에 대해 현재 및 미래에 대한 모델을 수립한다. 모델링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추이 분석, 시뮬레이션, 벤치마킹 등 다양하게 있으며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정확도는 달라질 수 있다.

 

3) 수요 관리

IT 구성 자원의 요구사항을 조정하고 용량 활용을 극대화 및 최적화하기 위해 고객의 수요를 관리한다. 신규 서비스에 대한 요구나 기존 서비스의 확대 등의 요구 사항 정보를 수집하고 용량 계획 수립 시 반영한다.

 

4) 사이징

사이징은 프로젝트에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계된 자원 안에서 부족하지 않게 운영되도록 충분한 용량을 계획해야 한다. 사이징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근거로 수행하는 용량 계획 업무 중 하나이다.

 

5) 자원 관리

자원이 잘 활용되고 있는지 상태와 유휴 자산을 확인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6) 성능 관리

성능 관리는 고객의 기대 수준이나 서비스 수준 약정서에 정의된 서비스 수준 충족을 위한 성능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주로 단기적인 시점에서의 용량 최적 활용률을 확인하여 모니터링과 튜닝의 기준으로 삼는다.

 

 

2. 국내기업의 용량 관리

현재 국내기업의 IT 관리 현실은 적은 인력으로 많은 서버와 시스템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서버나 시스템에 대해 용량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그나마 현재로서 현실적인 방안은 서버의 성능 이벤트 도구에서 생성되는 용량 정보를 API 등의 오토 인터페이스를 통해 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용량 추이를 분석하면서 사이징 같은 업무에 참조하거나, 비즈니스 성장률을 참조하여 매년 예산 편성 작업에 집중하여 관리하는 것이 전반적인 용량 관리의 정확성을 높이면서 실질적인 용량 관리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