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운영/재해복구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5) 개선 방안 검토

by Torobeen 2023. 4. 6.
반응형

타이틀

(1) 가용성 요구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1) 요구 분석

 

(2) 가용성 계획 수립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2) 계획 수립

 

(3) IT 서비스 현황 분석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3) 현황 분석

 

(4) 연속성 구현 전략

[재해복구시스템 운영] 가용성 구현 절차 (4) 연속성 구현

 

(5) 개선 방안 검토

1) 연속성 관리 활동의 주기적인 평가

가용성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나 다른 방법론을 이용하여 실제 가동 중인 시스템의 가용성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한다. 측정된 결과는 서비스 수준 보고 시에 포함되어 고객 및 사용자에게 공유해야 한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가용성 향상을 위한 input 데이터로 활용한다.

 

I.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서버 개별 측정

각 개별로 측정하면 개선 포인트 식별에 용이하다.

 

II. 애플리케이션 - 서버 구간 측정

서버 장애로 인한 애플리케이션 가동 중단 시에는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네트워크 성과도 별도로 측정하과 산출해야 한다.

 

III. 애플리케이션 - 서버 - 네트워크 구간 측정

서버 및 네트워크 장애로 애플리케이션 가동 중단 시에도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실제 복잡한 평가나 관리 방식을 두면 실효성에 문제가 있고, 별도의 관리 인력에 대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2) 개선 방안 검토

가용성 및 연속성 평가 항목을 통해 주기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대해 리뷰하면서 개선 방안을 협의한다. 의사 결정을 통해 개선안을 도출하고 개선을 실행할 수 있도록 공식적으로 공유한다.

 

3) 연속성 관리 활동 보고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가용성 실측치를 근거로 주기적으로 가용성 보고서를 작성하고 IT 조직과 사용자에게 공유한다. 서비스 수준 관리에서 주기적으로 서비스 수준 점검 회의를 실시할 때 이 가용성 보고서를 활용한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는 해당 기간의 가용성 측정 실측치, 분석 결과 및 개선 계획을 포함한다. 기간은 중장기로 두고, 개선 계획에는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조직별로 기술적 권고 내용을 포함한다.

 

4) 개선 실행

먼저 연속성 관리 활동으로 수행한 담당자 선에서 제시한 개선안을 검토하고 의견을 나눈다. 그 후 개선 안건에 따라 실수행 담당자를 선정하여 수행 결과에 대해 측정할 방법을 사전에 정의한다. 개선을 실행하면 개선 실행 내역을 정기적으로 보고 및 공유하며, 완료 시에는 개선 건별로 수행 내용을 정리하여 최종 산출물을 업데이트하여 문서에 대한 버전 관리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