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운영/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및 프로토콜

by Torobeen 2024. 5. 19.
반응형

네트워크란?

네트워크(Network)는 여러 컴퓨터 시스템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는 사용 목적과 범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유형

네트워크는 규모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뉜다.

 

  • LAN (Local Area Network): 제한된 공간 내에서 컴퓨터와 장치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다. 주로 가정, 사무실, 학교 등에서 사용된다.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와 같은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여러 LAN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 WAN (Wide Area Network):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여러 LAN과 MAN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전 세계인이 직접 만나지 않아도 소통할 수 있는 인터넷이 대표적인 WAN이다.

 

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규약이다.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방식, 오류 처리 방법, 데이터 압축 방법 등 다양한 규칙을 정의한다. 주요 프로토콜에는 TCP/IP, HTTP, FTP 등이 있다.

 

 

주요 프로토콜 설명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역사: 1960년대 미 국방성의 ARPA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 구조: 네트워크 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전송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TCP와 IP를 포함한다.
    • 기능: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전달하며, 전송 중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역사: 1990년대 월드 와이드 웹(WWW)의 등장과 함께 개발되었다.
    • 기능: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주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역사: 1970년대에 개발되었다.
    • 기능: 컴퓨터 간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파일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는 네트워크 내 장치들이 연결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구조를 의미한다. 주요 토폴로지에는 버스형, 스타형, 링형, 메시형이 있다.

  • 버스형: 모든 장치가 하나의 중앙 케이블에 연결된 형태.
  • 스타형: 중앙 스위치 또는 허브에 모든 장치가 연결된 형태.
  • 링형: 모든 장치가 링 형태로 연결된 구조.
  • 메시형: 모든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된 형태.

 

마치며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은 현대 통신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다. 다양한 네트워크 유형과 프로토콜을 이해하면 네트워크의 동작 방식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