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운영/네트워크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 RIP, OSPF, EIGRP 설정 및 특징

by Torobeen 2024. 5. 19.
반응형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위해서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해와 설정이 필수다.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인 RIP, OSPF, EIGRP에 대해 알아보고, 각 프로토콜의 설정 방법과 명령어를 소개한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는 가장 오래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특징:

  •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홉 수를 기준으로 경로를 선택
  • 최대 홉 수: 15홉 (16홉은 도달 불가로 간주)
  • 라우팅 업데이트 주기: 30초마다 전체 라우팅 테이블 전송
  • 단순한 설정: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설정 예시:

router rip
 version 2
 network 192.168.1.0
 no auto-summary

 

  • router rip: RIP 라우팅 프로세스를 시작
  • version 2: RIP 버전 2 사용
  • network 192.168.1.0: RIP이 작동할 네트워크를 지정
  • no auto-summary: 자동 요약 기능 비활성화

 

관련 명령어:

  • show ip rip database: RIP 라우팅 데이터베이스 확인
  • debug ip rip: RIP 디버그 정보 확인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OSPF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특징: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의 상태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
  • 빠른 수렴 속도: 링크 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
  • 계층적 설계: 에어리어를 사용한 네트워크 분할로 확장성 향상
  • 무클래스 라우팅: VLSM 및 CIDR 지원

 

설정 예시:

router ospf 1
 network 192.168.1.0 0.0.0.255 area 0
  • router ospf 1: OSPF 라우팅 프로세스 ID 1을 시작
  • network 192.168.1.0 0.0.0.255 area 0: 지정된 네트워크를 에어리어 0에 포함

 

관련 명령어:

  • show ip ospf: OSPF 프로세스 상태 확인
  • show ip ospf neighbor: OSPF 이웃 라우터 확인
  • debug ip ospf adj: OSPF 인접성 디버그 정보 확인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EIGRP는 Cisco 고유의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로, 빠른 수렴 속도와 효율적인 네트워크 리소스 사용이 특징이다.

 

특징:

  •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의 장점 결합
  • 빠른 수렴 속도: DUAL 알고리즘 사용
  • 무클래스 라우팅: VLSM 및 CIDR 지원
  • 효율적인 업데이트: 변경된 부분만 전송

 

설정 예시:

router eigrp 1
 network 192.168.1.0
 no auto-summary

 

  • router eigrp 1: EIGRP 라우팅 프로세스 ID 1을 시작
  • network 192.168.1.0: EIGRP가 작동할 네트워크를 지정
  • no auto-summary: 자동 요약 기능 비활성화

 

관련 명령어:

  • show ip eigrp neighbors: EIGRP 이웃 라우터 확인
  • show ip eigrp topology: EIGRP 토폴로지 테이블 확인
  • debug eigrp packets: EIGRP 패킷 디버그 정보 확인

마치며

RIP, OSPF, EIGRP는 각각 다른 특성과 장점을 가진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의 규모와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반응형